본문 바로가기

Others

네이버 개발자센터 SVN 서버 + Tortoise SVN 사용하기

 

 

 

 

SVN은 일반적으로 팀 단위 프로젝트에서 소스를 여러명이서 쉽게 공유하여 수정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곤 합니다. 물론 혼자 작업할 때 프로젝트를 버전별로 관리하고 싶거나 백업을 용도로 사용해도 좋습니다.

참고로 본문에서는 SVN Tool 중 하나인 Tortoise SVN의 사용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 Tortoise SVN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http://tortoisesvn.net/downloads.html 링크에서 최신버전을 다운로드 합니다.

 

 

설치과정은 간단하니 생략합니다.

 


 

 

<2> 네이버 개발자센터에 프로젝트 추가하기

 

네이버가 친절하게 무료 SVN서버를 제공합니다.

http://developer.naver.com/ 네이버 개발자센터 링크에 들어가셔서 새 프로젝트 만들기 를 클릭하여 새로 프로젝트를 만들어줍니다.

 

 

 

저장소당 2GB, 단일파일 100MB 미만 까지 지원해준다고 합니다. 사실 왠만한 크기의 프로젝트정도는 감당할만한 수준의 크기이긴 한데.. 혹시나 2GB 이상 넘어가게된다면 하드디스크를 직접 서버로 사용하셔야 할겁니다.

 

 

 

프로젝트 등록 후 15분이 지나면 http://dev.naver.com/svn/프로젝트 아이디 로 주소를 받을수있습니다.

 

※참고로 개발자센터 홈에서 [마이 오픈프로젝트]->[회원정보] 에서 코드 저장소 비밀번호를 설정하여야 합니다.

 


 

<3> 파일 SVN 서버에서 올려보기

 

 

SVN 서버가 관리하고자 하고싶은 폴더 하나를 골라서 오른쪽버튼 클릭후 SVN Checkout... 버튼을 눌러 체크아웃합니다.

 

 

 

URL of repository (저장소의 URL) 에 네이버 개발자센터에서 할당받은 서버 주소를 넣어주시고 OK 를 눌러줍니다.

 

 

SVN 계정을 입력해야하는데, 아이디와 비밀번호는 네이버 개발자센터에서 설정한 그대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제 모든 설정은 끝났고 사용만 하면 됩니다. SVN 서버에 올리고자 하는 파일을 체크아웃(Check out) 받은 폴더에 넣은 후,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 하여 [TortoiseSVN] -> [Add] 하여 SVN 서버에 추가할 파일을 선택합니다.

 

 

 

Add 한 후 파일을 오른쪽 클릭 후 [SVN Commit...] 을 선택하여 서버에 올립니다.

 

 

OK 를 누르면 성공적으로 SVN 서버에 올라갑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위 스크린샷과 같이 메세지를 남길수도 있습니다.

 

 

성공적으로 서버에 올라가면 revision 이 1씩 올라갑니다.

 


 

※ Update 하면 SVN 서버에 올라가있는 최신버전의 파일을 내려받습니다.

※ Add 는 폴더단위로도 가능하며, 상위 폴더에서 Commit 을 한번에 진행할 수 있습니다.

※ Delete 를 통해 SVN 서버에서 파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Show log 를 통해 Commit 할때 남긴 메세지와 Commit 기록을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Oth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쥬얼 스튜디오 프로젝트 Property 정리  (0) 2016.09.13
VirtualBox 로 우분투 설치하기  (0) 2015.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