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thers

VirtualBox 로 우분투 설치하기

 

<VirtualBox 로 우분투(Ubuntu) 설치하기>

 

윈도우환경에서 우분투를 설치할껀데, 그러기 위해선 우분투를 돌릴 가상머신이 필요합니다.

가상머신으로는 대표적으로 VMWare, VirtualBox 정도가 있는데 VMWare 같은 경우는 비주얼스튜디오에서 충돌메세지를 띄우는 경우가 종종 있길래 저는 VirtualBox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1> 우분투 다운로드

 

 

 가상머신을 다운받기 전에 http://www.ubuntu.com/download/desktop 에서 우분투 파일을 다운받습니다.

 

 

다운로드를 진행할 때 기부금액을 묻는데, 모두 '0' 으로 설정하면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2> VirtualBox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설치파일은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에서 다운로드 받으면 됩니다.

 

 

설치과정은 설명이 필요없을정도로 간단합니다. Next 만 반복하다가 Install 하면 설치 끝.

 


 

 

<3> 우분투(Ubuntu 설치하기)

 

 

 

설치한 VirtualBox 를 실행해줍니다. 새로만들기 를 클릭하여 가상머신을 새로 만들어줍니다.

 

 

원하는 가상머신의 이름을 적은다음에 [다음] 버튼을 눌러 넘어갑니다.

 

 

메모리(RAM)도 정해주세요. 저는 일단 추천 메모리 크기 그대로 사용했는데.. 보통 1000MB 이상 입력하시곤 합니다.

 

 

지금 새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 에 체크하고 [만들기]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VDI 에 체크하고 [다음] 을 클릭합니다.

 

 

동적 할당 에 체크하고 [다음] 을 클릭해줍니다.

고정 크기를 체크하셔도 상관 없는데... 중간에 하드 디스크의 크기가 늘어날 것을 대비해 동적 할당 하였습니다.

 

 

가상 하드디스크이 경로를 설정한 후 [만들기] 를 클릭합니다.

기본 경로로 하셔도 상관 없는데 저같은 경우는 널널한 D드라이브로 설정하였습니다.

 

 

상단 메뉴의 [머신] → [설정] 을 클릭해줍니다. 

 

 

저장소 탭에 있는 컨트롤러:IDE 의 '비어 있음' 을 선택하여 광학 드라이브를 아까 다운로드 받은 우분투 파일을 선택해서 넣어줍니다.

 

 

설정은 모두 끝났고, 상단 아이콘에 [시작] 버튼을 눌러주면 가상머신에서 우분투 운영체제가 실행됩니다.

 

참고로 간혹 이 과정에서 위와같은 오류 메세지가 등장하는데.. VirtualBox를 제어판에서 삭제한 후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_Old_Builds_4_3_pre24 링크에서 4.3.12 버전을 다운받아 재설치 해보십시오.

 

 

성공적으로 실행되면 우분투를 본격적으로 설치합니다. 언어설정은 좌측에서 '한국어' 로 변경 가능합니다.

 

 

기본 설정을 굳이 변경할 필요가 없을 것 같으니 [계속]을 눌러 넘어갑니다.

 

 

[지금 설치] 를 클릭.

 

 

이후에 키보드 설정이나 사는지역 등등.. 여러가지를 물어보는데 그냥 기본값으로 설정해서 [계속] 을 클릭하여 넘어갑니다.

 

 

설치가 끝난 후 재시작되면 위와같이 우분투가 성공적으로 실행됩니다.